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건설공무] 건설공사의 종류별 하자담보책임기간

by 그로우업82 2025. 3. 31.
반응형

이번 포스팅에서 알아볼 내용은 건설 공사 준공에 따른 하자보증기간의 설정입니다. 공사가 끝나고 준공을 하게 되면 계약부서에서 준공에 대한 서류들을 요구 받게 되는데요. 공사마다 하자의 책임기간이 다르기 때문에 그 기간에 맞게 하자보수 보증서를 발행해서 제출해야 합니다. 큰 공사의 경우 하자보수 보증서를 발급하거나 작은 공사의 경우 하자보수 각서로 대체하기도 합니다. 

 

1. 하자담보책임기간이란?

1) 법 제28조제1항의 규정에 의한 공사의 종류별 하자담보책임기간은 별표 4와 같다.<개정 2016. 2. 11>

2) 법 제 28조제3항 단서에 따라 건설공사의 하자담보책임기간을 도급계약에서 특별히 따로 정할 경우에는 도급계약서에 다음 각 호의 사항을 알 수 있도록 명시하여야 한다.<신설 2016. 2. 11>

1. 따로 정한 하자담보책임기간과 그 사유

2. 따로 정한 하자담보책임기간으로 인하여 추가로 발생하는 하자보수보증 수수료

 

 

 

 

출처 : 국가법령정보센터 건설산업기본법 시행령 별표 4

 

출처 : 국가법령정보센터 건설산업기본법 시행령 별표 4

 

하자담보책임기간.pdf
0.17MB

 

 

 

2. 하자보수 보증서 발급 기관

건설 공사 계약 시 계약이행증권을 발급한 기관에서 하자보수 보증서를 발급하시면 됩니다.

해당 건설업에 맞는 건설공제조합, 전문건설공제조합, 엔지니어링공제조합과 같은 공제조합니다. SGI 보증보험과 같은 보험회사에서도 업무를 취급니다. 

 

마무리

이번 포스팅에서는 건설 공무 업무 중 준공 단계에서 발주처 계약부서에 제출해야되는 서류 목록 중 하나인 하자보수 보증서 발급을 위해 필요한 하자담보 책임기간에 대해 알아보았습니다. 하자보증기간에 대해 알아보시는 분들에게 도움이 되는 자료였으면 좋겠습니다. 감사합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