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건설공무] 아스콘(아스팔트 콘크리트)의 종류 와 특징

by 그로우업82 2025. 3. 18.
반응형

아스콘은 도로포장에 사용되는 대표적인 재료입니다. 건설업무를 하다보면 아스콘 포장 공사를 맡아서 진행하는 경우가 있는데 아스콘의 규격과 특성을을 잘 몰라사 헤매는 일이 발생하는데 이번 포스팅에서는 아스콘(아스팔트 콘크리트)의 종류와 특징에 대해 자세히 알아보겠습니다.

 

1. 아스팔트(Asphalt)란?

아스팔트는 원유를 정제할 때 생성되는 검은색의 점성이 높은 물질이에요. 주로 도로포장의 바인더(접착제 역할)로 사용되며, 방수재, 방청재 등 다양한 용도로 활용되고 있습니다.

 

2. 아스콘(Ascon, 아스팔트 콘크리트)란?

아스콘은 아스팔트에 골재(자갈, 모래 등)를 혼합하여 만든 포장재로, 실제 도로 포장에 사용되고 있습니다.

  • 구성 : 아스팔트 + 자갈(굵은 골재) + 모래(잔골재)
  • 특징 : 내구성이 강하고 차량 하중을 견딜 수 있도록 설계되었습니다.

 

 

3. 아스콘의 종류 및 특징

 

  • 아스팔트 혼합물(아스콘) 종류에서 [ ] 안의 명칭은 아스팔트 혼합물의 종류의 약칭이며, ( ) 안의 숫자는 아스탈트 혼합물의 최대 골재크기(mm)를 나타냅니다.
  • WC는 Wearing Course의 약자로 표증에 사용된다.(WC-1, WC-2,  WC-3,  WC-4,  WC-5,  WC-6)
  • F는 Fine의 약자로 세립을 의미합니다.
  • R은 소성변형 저항성이 높은 아스콘을 나타냅니다.
  • MC는 InterMediate Course의 약자로 중간층에 사용됩니다.
  • BB는 Bituminous Base Course의 약자로 기층에 사용됩니다. (BB-1, BB-2, BB-3, BB-4)

보조기층 위에 프라임 코트 시공 후 아스콘으로 기층, 중간층, 표층 순서대로 시공하며, 각 아스콘 층 사이에 택 코트를 시공하게 됩니다. 다만, 중간층은 '(국토교통부) 도로포장 구조 설계 요령' 에 따른 설계 결과에 따라 적용하지 않을 수 있어요.

 

4. 아스팔트 콘크리트 포장 단면

아스팔트 콘크리트 포장의 단면아 아래의 그림과 같습니다. 다만, 동상방지층과 중간층은 반드시 필요하지 않으며, 선택적으로 사용할 수 있어요.

  • 표층은 교통 하중에 접하는 최상부의 층으로 굵은 골재의 비율과 입도분포에 따라 밀입도, 내유동 아스팔트 콘크리트로 나누며, 최대골재의 크기에 따라 13mm, 20mm로 구분됩니다.
  • 중간층은 기층의 요철을 보정하고 표층에 가해지는 하중을 기층에 균일하게 전달하는 역할을 하며, 최대골재의 크기는 20mm이고, 표층용 품질기준을 적용합니다.
  • 기층은 보조기층과 접하는 층이며, 최대골재 크기가 25mm, 30mm, 40mm 등으로 구분됩니다.

 

24 아스팔트콘크리트포장시공지침(본문).pdf
6.26MB

국토교통부 간행물(아스팔트 콘크리트 포장 시공 지침)

 

 

5. 결론

아스팔트는 원재료이고, 아스콘은 아스팔트를 활용하여 만든 도로 포장용 재료입니다. 이번 포스팅에서는 아스콘(아스팔트 콘크리트)의 종류와 특징에 대해 알아보았습니다. 아스콘 포장 계획이 있으신 분들에게 좋은 정보가 되었으면 좋겠습니다. 감사합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