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건설폐기물 단위중량은 건설공사 중 발생하는 폐기물의 종류별 1㎥당 무게(kg/㎥)를 의미합니다. 이는 운반, 처리, 적재 계획 수립 시 중요한 기준이 됩니다. 이번 포스팅에서는 건설폐기물 종류별 단위중량 및 계산방법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1. 주요 건설폐기물 단위중량 (kg/㎥)
건설폐기물은 종류에 따라 단위줄량이 다르며, 일반적으로 아래와 같이 분류됩니다.
2. 건설폐기물 단위중량 활용
폐기물 처리비 산정 : 건설폐기물 발생량을 계산해 처리 비용을 예측해 설계내역에 반영할 수 있습니다.
운반 계획 수립 : 차량의 적재 가능 중량을 고려해 운반 횟수를 결정합니다.
적재 공간 확보 : 현장에서 폐기물을 보관할 공간을 미리 계획할 수 있습니다.
3. 건설폐기물 종류에 따른 중량 계산 방법
- 콘크리트 포장 철거 시 폐콘크리트 중량 계산 방법(도로폭 3m, 포장길이 35m, 포장두께 20cm)
1. 바닥 면적 계산 : 3m(도로폭) * 35m(포장길이) = 105㎡
2. 포장 두께를 곱해서 ㎥ 구하기 : 105 * 0.2m(포장두께) = 21㎥
3. 중량계산식 : 21㎥ * 2,300kg(위 표에 콘크리트 단위중량) = 48,300kg
4. Ton으로 환산 : 48,300kg ÷ 1000 = 48.3Ton
- 다른 폐기물들도 계산식은 동일하고 3번에 단위중량만 해당 폐기물 단위중량을 넣어 계산하시면 됩니다.
4. 유의사항
건설폐기물은 종류별 수분함량, 압축 정도에 따라 단위중량이 변동할 수 있어요. 각 지자체 및 폐기물 처리업체의 기준을 미리 확인하고 발주처와 협의해 진행하시는게 정확하고 처리 시 법적 처리 기준에 따라 처리하셔야 합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