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설현장에서 공사 전반에 걸쳐 자주 등장하는 가시설 중 하나가 바로 EGI휀스와 방진덮개입니다.
외부 민원 방지, 비산먼지 차단, 안전 확보 등을 위해 법적으로 의무화되기도 한 시설물인데요,
막상 단가를 산출하려 하면 기준이 모호하거나 품셈이 없는 경우가 많습니다.
이 포스팅에서는 EGI휀스와 방진덮개 설치 시 단가산정은 어떻게 할 것인지,
실행단가와 실적기준, 그리고 실무자들이 참고할 수 있는 자재별 단가 포인트를
실제 공사 예산서 작성 기준에 맞춰 안내드립니다.
EGI휀스는 어떤 기준으로 단가를 산정하나요?
EGI휀스는 철망 형태의 임시 휀스로, 국가표준품셈에는 직접적으로 수록되어 있지 않은 항목입니다.
따라서 대부분은 다음 두 가지 중 한 가지 방식으로 단가를 산정합니다:
① 실적단가 방식
- 이전 프로젝트 낙찰단가 또는 입찰내역서 기준
- 자재, 노무, 장비를 포함한 총합계 기준의 m당 단가
- 자주 사용되는 단가: 22,000원 ~ 28,000원/m
② 실행예산 방식
- 자재비(패널+지주+조인트), 설치 노무비, 해체비, 운반비 등 세분화
- 시공 규모가 크거나 조달청 계약 시 추천
방진덮개는 어떻게 산정하나요?
**방진덮개(방진망)**는 주로 골재 적치장, 콘크리트양생 부위, 또는 EGI휀스 외부에
부착하여 사용하는 분진·소음 저감용 자재입니다.
이 또한 국가품셈에는 수록되어 있지 않으며, 다음과 같이 산정합니다.
방진덮개 단가 구성 항목
자재비 | 방진망(PE계), 길이별 맞춤 재단 기준 |
부자재 | 고정용 로프, 클립, 훅 등 |
시공비 | 설치 인건비 및 장비 사용료 포함 |
합계 | 2,000원/㎡ 내외 |
품셈이 없을 때 단가는 어떻게 정하나요?
EGI휀스와 방진덮개는 표준품셈이 존재하지 않거나 불완전하기 때문에,
다음 3가지 기준을 바탕으로 단가를 책정하는 것이 일반적입니다.
- 과거 실적 기준 낙찰단가 참고
- 자재별 단가 견적서 확보 후 합산
- 유사 품셈 참조 (비계 설치, 안전난간 설치 등)
실무자 꿀팁: 단가산정 시 고려할 요소
- 설치 및 해체 포함 여부 반드시 확인
- 비탈면, 고소작업 등 특수현장일 경우 추가비용 반영
- 자재는 조달청 MAS 제품 단가 비교 후 확정
- 임대냐 매입이냐에 따라 비용 구조 달라짐 (장기공사는 매입이 유리)
실무 자료 필요하신가요?
다운로드 링크를 누르시면 EGI휀스 및 방진덮개 표준 품셈, 단가산출서 다운로드 페이지로 이동합니다.
https://spot.bkfarm.kr/2025/08/egi.html
건설현장 EGI휀스 및 방진덮개 설치 품셈 기준과 단가산출 방법 완전 정리
EGI휀스 및 방진덮개 설치 표준 품셈 및 단가산출서 공유
spot.bkfarm.kr
마무리
EGI휀스와 방진덮개는 가시설물이지만, 민원 대응과 안전을 위해 필수적인 설비입니다.
또한 발주처 감리에게 설계변경이나 추가 비용 산정 시 근거를 명확히 제시해야 하므로
단가 산정에 논리와 실적 데이터가 필요합니다.
이 글이 실무에 도움이 되셨다면 구독과 공유 부탁드립니다 🙌
필요하신 양식, 계산서, 비교 견적서 요청은 언제든 댓글로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