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건설 현장에서 덤프트럭의 1일 운반량을 계산하는 것은 현장 일정 관리, 원가 산정, 장비 투입 계획을 세우는데 중요한 요소입니다.
특히 토사 운반이나 건설폐기물 처리처럼 반복적인 작업이 많은 경우, 트럭 한대당 하루 몇 회전이 가능한지, 총 몇 ㎥를 처리할 수 있는지 명확히 아는 것이 필요합니다.
이번 글에서는 덤프트럭 1일 운반량 계산법에 대해 자세히 알아보겠습니다.
1. 덤프트럭 1회당 적재량 기준
덤프트럭의 1회당 적재량은 일반적으로 다음과 같습니다.
구분 | 적재 용적(㎥) | 비고 |
15t 덤프 | 8~10 ㎥ | 토사 비중에 따라 다름 |
25t 덤프 | 13~15 ㎥ | 무게 기준 과적 주의 |
마른 흙 기준으로 최대 용적까지 가능하지만, 점토, 습한 흙일수록 무게가 무거워져 적게 적재합니다.
통상적으로 현장에서는 15톤 덤프는 8㎥, 25톤 덤프(앞사발이)는 13㎥로 계산합니다.
2. 1일 운반량 계산 공식
1일 운반량( ㎥) = 1회 적재량 * 1일 왕복 회전 수
여기 왕복 회전 수는 다음 요소에 따라 결정됩니다.
- 1회 운반 거리
- 덤프 적재 및 하차 시간
- 현장 내 대기 시간
- 도로 사정 및 신호
3. 실무 기준 회전 수 예시
운반 거리 (왕복 기준) | 예상 회전 수(1일) | 비고 |
1~3km | 10~15회 | 근거리, 빠른 회전 가능 |
4~10km | 6~9회 | 중거리, 대기시간 변수 |
10km 이상 | 4~6회 | 장거리, 연비/시간 고려 |
예시) 25톤 덤프가 10㎥ 씩 싣고 1일 8회 운반하면 -> 10㎥ * 8회 = 하루 80㎥ 운반 가능
4. 덤프트럭 1일 운반량 계산 예시
- 현장 조건
- 트럭 종류 : 25톤 덤프
- 왕복 거리 : 6km
- 적재량 : 13㎥
- 1일 회전수 : 7회
13㎥ * 7회 = 하루 약 91㎥ 운반 가능
5. 운반량 산정 시 주의할 점
- 과적 방지 : 법적 중량 초과 시 과태료 발생 가능
- 대기시간 포함 : 하역 지연 시 회전 수 감소
- 날씨, 도로 조건 : 비 오는 날, 공사 구간 등은 회전율 저하
- 차량 유지비 고려 : 장거리 운반 시 연료비와 운전시간도 감안해야 함
마무리
덤프트럭 운반 계획은 단순 계산 같지만, 실제 공사에서는 시간, 연료, 비용과 직결되는 중요한 작업입니다.
회전 수 예측과 적재량 파악을 통해 보다 효율적인 자재 운반 계획을 세워보세요.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