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건설현장 견적·설계 단계에서 절대 빼놓을 수 없는 항목!
바로 ‘폐기물처리단가’입니다.
오늘은 2025년 기준 물가자료에 수록된 주요 폐기물 처리단가와
단가 산정 시 유의사항을 정리했습니다.
실무자, 기술자, 감리·발주처 담당자라면 반드시 알아두세요.
🔍 폐기물처리단가란?
건설현장에서 발생하는 각종 폐기물은
처리 과정에 따라 다음 세 가지 비용으로 구성됩니다.
구분설명
수집비 | 현장 내 배출지에서 폐기물을 모으는 비용 |
운반비 | 수집된 폐기물을 처리장까지 운반하는 비용 |
처리비(중간처리단가) | 파쇄·선별·압축 등 중간처리 과정의 단가 |
💡 “물가자료 폐기물처리단가”는 주로 중간처리단가를 의미하며,
수집비·운반비는 별도 항목으로 산정합니다.
📊 2025년 기준 주요 폐기물처리단가
다음 표는 한국건설자원협회 및 물가정보 자료를 기반으로 한
2025년 1월 1일 기준 건설폐기물 배출지별 중간처리단가 예시입니다.
(단위: 원/톤, 부가세 별도)
구분폐기물 종류단가(원/톤)비고
도로·교량 철거공사 | 폐콘크리트(순수) | 29,396 | 불순물 없음 기준 |
도로·교량 철거공사 | 폐아스팔트콘크리트 | 31,002 | 일반 혼합물 기준 |
재건축·재개발 현장 | 건설폐재류 | 48,021 | 가연물 제거 상태 |
재건축·재개발 현장 | 건설오니 | 59,876 | 함수율 85% 이내 |
재건축·재개발 현장 | 혼합건설폐기물 | 68,563 | 가연물 5% 이하 혼합 |
기타 혼합 폐기물 | 불연성 혼합물(폐유리·타일 등) | 168,424 | 비가연성 위주 |
기타 혼합 폐기물 | 폐보드류·판넬 등 | 173,154 | 난연재 포함 가능 |
※ 상기 금액은 중간처리단가 기준이며,
운반비·수집비·부가세는 별도 산정이 필요합니다.
자료 출처: 한국건설자원협회, 물가정보, 건설경제연구원
⚙️ 단가 산정 시 유의사항
- 운반거리 반영
- 통상 30km 기준 단가가 적용됩니다.
- 운반거리가 길면 별도 거리단가(㎞당 추가요율)를 적용하세요.
- 함수율과 불순물 비율
- 오니(슬러지)는 함수율에 따라 단가가 20~30% 차이 납니다.
- 콘크리트 폐기물에 철근·이물질 포함 시 단가 상승.
- 지역별 단가 차이
- 서울·경기·인천권은 상대적으로 높고,
지방(강원·전남·경북)은 약 5~10% 낮은 편입니다.
- 서울·경기·인천권은 상대적으로 높고,
- 포함 항목 확인
- 중간처리단가에는 이윤 + 일반관리비 + 제경비가 포함되어 있습니다.
- 단, **부가가치세(VAT)**는 별도 항목입니다.
- 단가 개정 시점
- 대부분의 물가자료는 매년 1월 1일 기준으로 개정되며,
중간년도 변경 시 “추가 보정표”가 별도로 공지됩니다.
- 대부분의 물가자료는 매년 1월 1일 기준으로 개정되며,
💰 실무 적용 예시
예시)
도로철거 현장에서 폐콘크리트 150톤, 폐아스팔트 100톤 발생 시
구분수량(톤)단가(원/톤)금액(원)
폐콘크리트 | 150 | 29,396 | 4,409,400 |
폐아스팔트콘크리트 | 100 | 31,002 | 3,100,200 |
합계(부가세 별도) | 7,509,600원 |
실제 견적 시에는 운반비(톤당 10,000~15,000원) 및
**수집비(현장 여건별 산정)**를 추가합니다.
🧾 자료 활용 팁
- 📑 참고 사이트
- 📌 업데이트 루틴
매년 1월 첫째 주, 7월 중순 물가자료 변경 시 재확인하세요. - 🧠 추가 체크 포인트
- 발주처 심사 시에는 반드시 “공신력 있는 단가표” 인용 필요
- 단가표 원본 PDF 첨부 시 신뢰도 상승
📢 마무리 요약
✅ 폐기물 처리 단가는 설계·견적의 기초 데이터
✅ 운반거리·함수율·혼합비율이 단가 차이의 핵심
✅ 2025년 최신 물가자료로 매년 갱신 필요
✅ 중간처리단가 + 운반비 + 수집비 + VAT로 총비용 산정
✉️ 최신 물가자료 PDF나 엑셀 단가표가 필요하신 분은
댓글 남겨주시면 공유드리겠습니다!
반응형